AI 자동화 연구소/Column 8

3편 MPC(Model Context Protocol)의 특징과 활용 사례

실무형 AI를 위한 MCP의 활용 전략과 실제 사례AI가 실시간으로 도구를 호출하고 업무를 자동화 하는 시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실행 가능한 인프라로서 MCP(Model Context Protocol)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MCP가 현장에 어떻게 적용 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떤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MCP의 실전 가치는 '행동형 AI'실현기존 AI는 '응답형(text-to-text)'에 그쳤지만, MCP는 이를 '행동형(text-to-action)'으로 바꾸는 핵심 기술입니다. 즉, AI가 직접 도구를 호출하고 실행하며 사용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실행자(agent)로 진화할 수 있게 합니다.구분기존LLMMCP 기반 AI연결 방식정적인 정보 제..

[Playwright #2] Test 실행 옵션

[Playwright #1] Playwrigh.. : 네이버블로그 [Playwright #1] Playwright 소개 및 설치 방법| Playwright ? Microsoft에서 개발한 웹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무료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다양한 환경에...blog.naver.com 첫 번째 글에서는 Playwright를 설치하고 첫 테스트를 실행해 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laywright로 테스트를 실행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행 옵션과 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테스트 실행 옵션을 적절히 활용하면 테스트 속도를 높이고, 원하는 환경에서 정확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laywright 테스트 실행 기본 명령어Playwright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 명령어로 테..

[Playwright #1] Playwright 소개 및 설치 방법

| Playwright ?Microsoft에서 개발한 웹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무료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다양한 환경에서 E2E(End-to-End) 테스트 작성 및 실행출처 : https://x.com/playwrightweb| 주요 특징다양한 브라우저 지원Chromium(Chrome, Edge), Firefox, Webkit(Safari) 모두 지원크로스 플랫폼Windows, Mac, Linux에서 모두 실행 가능Headless ModeUI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테스트 실행 가능강력한 요소 제어CSS, XPath, 텍스트 셀렉터로 웹 페이지 요소 선택실제 브라우저 입력처럼 정밀한 시뮬레이션 가능(클릭, 입력, 드래그 앤 드롭, Hover 등)자동 동기화 처리 요소 로딩까지 기다려주는 대기 매커니즘 내장모..

2편 MCP(Model Context Protocol) 아키텍처와 구성요소

MCP(Model Context Protocol) 아키텍처와 구성요소​AI 모델이 실제 업무를 수행하려면 검색, 캘린더,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등 다양한 외부 도구와의 연결이 필수입니다.이를 위해 MCP는 표준화된 방식의 통신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MCP의 기본 구조MCP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오픈 프로토콜로, 다양한 도구와의 연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구성요소구성요소역할주요기능예시Host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 입력 수신, Client 관리, 결과 종합 및 반환ChatGPT, Claude Desktop 등Client중계자Server와의 연결 유지, 메시지 라우팅, 권한 관리MCP 클라이언트 모듈Server기능 제공자실제 기능 수행(검색, DB 질의, 캘린..

1편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무엇인가?

MPC(Model Context Protocol)란 무엇인가?​AI 생태계의 'USB-C', 외부 도구와 AI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AI 가 실질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외부 도구(검색, 저자으 실행 등)와의 연결이 필수적입니다. 이때 등장한 것이 바로 MCP 입니다.MCP는 AI의 실시간 연결을 위한 개방형 프로토콜 입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이 외부 시스템(도구, 앱, 데이터 등)과 표준화 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된 오픈 프로토콜 입니다.쉽게 말해, AI 모델이 인터넷 검색, 코드 실행, 파일 저장 , DB 질의 등 다양한 도구에 마치 USB-C처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AI 생태계의 연결 표준입니다. Anthropic이 202..

💼 AI 인재 전쟁 본격화 – 2025년 기업들이 찾는 AI 인재는?

요즘 뉴스만 봐도 ‘AI 인재’ 이야기가 빠지지 않습니다.정부는 AI 인재 10만 양성 계획을 발표하고, 대기업은 AI전담 조직을 꾸리고, 스타트업은 챗GPT 전문가 채용공고를 올립니다.그렇다면 지금 기업들이 찾는 AI 인재는 정확히 어떤 사람들일까요?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역량을 준비해야 할까요?📊 2025년, AI 인재 수요는 얼마나 뜨거운가?네이버·카카오·삼성전자 등은 AI 연구소 인력 지속 확대 중쿠팡, 마켓컬리, 무신사 등도 추천 알고리즘, 수요예측 엔지니어 적극 채용2024년 하반기부터 MLOps, LLM 파인튜닝, AI QA 직군 공고 급증국내 AI 관련 구인공고 수:2021년 → 2025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증가 중 (출처: KOSA, 잡코리아)🔍 지금 채용시장에서 주목받는 AI 직..

rPPG에 대한 기술의 혁신과 미래

1. rPPG 기술이란?PPG(Photoplethysmography)는 광을 이용해 피부 아래의 혈류 변화를 감지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전통적이고 널리 검증된 기술로, 주로 센서를 손가락이나 손목, 귀 등에 부착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 방식은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지만, 센서 착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는 일정한 제약이 있습니다.​이에 반해 rPPG(Remote PPG)는 비접촉 방식의 생체신호 측정 기술로, CMOS 또는 CCD 기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색 변화(주로 녹색 채널의 강도 변동)를 분석함으로써 심박수, 호흡률, 스트레스 반응 등의 생리학적 지표를 추출합니다. rPPG는 영상 분석 기술과 컴퓨터 비전, 신호처리 알고리즘, 최근에..

컨퓨전 매트릭스(Confusion Matrix)

컨퓨전 매트릭스(Confusion Matrix)는 머신 러닝에서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 입니다. 실제 값(정답, Ground Truth)과 예측 값(Predicted Value)을 비교하여 모델의 예측 결과를 상세히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행열은 모델이 어떤 종류의 오류를 발생 시키는지 파악하고 다양한 성능 지표를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Confusion Matrix의 구조이진 분류(Binary Classification)의 경우, Confusion Matrix는 다음 4가지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실제 값 / 예측 값긍정 (Positive, 예측 값)부정 (Negative, 예측 값)긍정 (Positive, 실제 값)True Positive (TP)Fa..